|
-서 (접미사) ('-응갑-'의 뒤에서만 쓰여) -어.
예) 인자 서로 맘에 안 들었등갑서. (= 이제 서로 마음에 안 들었던가 봐.) └ 지역 : 담양 화순 |
|
-세 (접미사) -ㄹ세.
예) 간단 말이세. (= 간단 말일세.) └ 지역 : 전역 |
|
-세 (접미사) -세.
예) 언능 허세. (= 얼른 하세.) └ 지역 : 전역 |
|
-센 (접미사) -씨. 중년 이상의 남자 성 밑에 붙여 부르는 말.
예) 김센(=김씨). └ 지역 : 담양 보성 |
|
-소 (접미사) (자음 뒤에) -어요.
예) 나 역서 밥 묵소. (= 나 여기서 밥 먹어요.)
예) 철수도 역서 밥 묵소? (= 철수도 여기서 밥 먹어요?) └ 지역 : 전역 |
|
-소 (접미사) -게.
예) 자네가 몬차 허소. (= 자네가 먼저 하게.)
예) 엄니 나 좀 주소. (= 엄마 나 좀 줘.)
예) 누님이 몬차 묵소. (= 누나가 먼저 먹어.) └ 지역 : 전역(신안 진도 완도 제외) |
|
-손 (접미사) 남자의 택호. ( 처가의 지명 다음에 붙임.)
예) 함평손(=처가가 함평인 남자). 순창손(= 처가가 순창인 남자). └ 지역 : 담양 곡성 승주 고흥 |
|
-쇤 (접미사) -씨. 중년 이상의 남자 성 밑에 붙여 부르는 말.
예) 김쇤(=김씨). └ 지역 : 화순 |
|
-수 (접미사) -보.
예) 묵수(=먹보). 꾀수(=꾀보). 길수(=게으름뱅이). └ 지역 : 진도 완도 |
|
-수 (접미사) -쇠. 남자 아이의 이름에 쓰이는 말.
예) 똥수(=똥쇠). 볼메수(=볼메 섬에서 시집온 여자가 낳은 첫 사내 아이). └ 지역 : 진도 |
|
-시럽다 -스럽다 |
|
-시럽다(-시러와서~-시롸서~-시라서) (접미사) -스럽다. └ 지역 : 전역 |
|
-시미 (접미사) 여자 아이의 이름에 쓰이는 말.
예) 공시미 (= 공달, 즉 윤달에 난 여자아이.) └ 지역 : 진도 |
|
-시소 (접미사) -십시오.
예) 한사코 중머리를 많이 치시소. (= 한사코 중머리를 많이 치십시오.) └ 지역 : 곡성 |
|
-실이 (접미사) -집. 남편의 성에 붙여 시집간 여자를 친정 웃어른들이 부르는 말. 실(室)
예) 김실이(=김집). 이실이(=이집). └ 지역 : 담양 광산 영암 |
|
-쌓소 왜 그래쌓소? (왜 그럽니까?) |
|
-써 해. |
|
-썩 (접미사) -씩.
예) 절반썩 나누자고 헝께 그라자고 합디다. (= 절반씩 나누자고 하니까 그러자고 합디다.) └ 지역 : 담양 함평 화순 진도 여천 순천 |
|
-씨 (접사) -씨(氏).
예) 김씨. 이씨. └ 지역 : 전역 |
|
-씨- (접사) -뜨리-.
예) 자빨씨다(= 넘어뜨리다). 오글씨다(=오그라뜨리다). └ 지역 : 해남 신안 진도 완도 |
|
섴다 (동사) 섞다. └ 지역 : 담양 여수 |
|
섵 (명사) 혀 |
|
섺이다 (동사) 섞이다. └ 지역 : 전역 |
|
솣(솣이. 솣을. 솥에) (명사) 솥. └ 지역 : 여천 |
|
솣(솟이~솣이. 솣을. 솥에) (명사) 솥. └ 지역 : 광양 |
|
쇡이다 (동사) 속이다. └ 지역 : 전역 |
|
쇡히 (부사) 속(速)히. └ 지역 : 담양 곡성 구례 광양 진도 |
|
쇡히다 (동사) 속이다. └ 지역 : 나주 고흥 화순 |
|
쇡히다 (동사) 속임을 당하다. └ 지역 : 구례 나주 화순 승주 고흥 |
|
쇵펜 (명사) 송편. └ 지역 : 광산 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