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총총허다 (형용사) 총총하다. (별빛이나 정신이) 또렷하다.
예) 눈이 안 보여 사람도 잘못 보고 그런디 마음만 총총허제. (= 눈이 보이지 않아 사람도 잘못 보고 그러는데 마음만 또렷하지.) └ 지역 : 담양 보성 신안 |
|
총총허다 (형용사) 총총하다. 촘촘하다.
예) 얼게미는 총총허게 메야 써. (= 어레미는 촘촘하게 매야 돼.) └ 지역 : 담양 광양 |
|
추 (명사) 취. └ 지역 : 완도 신안 |
|
추: (명사) 추워.
예) 인자 나이 등께 추도 못 이기겄어. (= 이제 나이 드니까 추위도 못 이기겠어.) └ 지역 : 담양 구례 |
|
추:다 (동사) 꾸다. < 취(取)-하다>.
예) 쌀을 넘우 집서 추어서 묵은다. (= 쌀을 남의 집에서 꾸어서 먹는다.) └ 지역 : 곡성 |
|
추:다 (동사) 추어올리다. 추어주다.
예) 지 자석 추어 싼 사람보고 멋이락헸어. (= 제 자식 추어올려 대는 사람보고 야단 쳤어.)
예) 네가 자부를 추는 말이 아니라 참 얌전허요, 우리 자부가. (= 내가 자부를 추어올리는 말이 아니라 참 얌전해요, 우리 자부가.) └ 지역 : 장성 담양 화순 곡성 |
|
추:미 (명사) 취미(趣味). └ 지역 : 담양 곡성 진도 |
|
추객 사위. |
|
추근물 (명사) 낙숫물. 지지랑물. └ 지역 : 무안 |
|
추근추근 (부사) 차근차근. 천천히.
예) 추근추근 셍각헤 보소, 어서 빠쳤는가. (= 차근차근 행각해 보게, 어디서 빠뜨렸는지.) └ 지역 : 담양 |
|
추근추근허다 (형용사) 차근차근하다. └ 지역 : 담양 |
|
추기 (명사) 습기. └ 지역 : 해남 |
|
추께들다 (동사) 추켜들다. └ 지역 : 담양 영광 |
|
추끼다 (동사) 추키다. └ 지역 : 영광 담양 보성 |
|
추끼들다 (동사) 추켜들다. └ 지역 : 보성 |
|
추녀 (명사) 추녀. └ 지역 : 영광 장성 담양 함평 광산 나주 무안 화순 해남 강진 |
|
추녀서끌 (명사) 추녀. └ 지역 : 영광 해남 장흥 |
|
추다 (동사) (춤을) 추다. └ 지역 : 영광 장성 담양 곡성 구례 함평 광산 나주 화순 승주 광양 영암 해남 진도 강진 장흥 보성 여천 |
|
추레허다 (형용사) 추레하다. └ 지역 : 전역 |
|
추룸 (명사) 추렴. 출염(出斂) └ 지역 : 진도 |
|
추름 (명사) 추렴. 출염(出斂) └ 지역 : 무안 |
|
추머리 (명사) 뚝배기. └ 지역 : 함평 |
|
추물시롭다 (형용사) 추(醜)하다. └ 지역 : 담양 |
|
추아바낌 (명사) 떠넘김.
예) 어머이 병세가 이렇게 위중하게 되니까 나한테 이렇게 추아바낌을 하고 있소? (= 어머니 병세가 이렇게 위중하게 되니까 하나테 이렇게 떠넘기고 있어요?) └ 지역 : 진도 |
|
추우 (명사) 추위.
예) 자가 추우를 잘 타야. (= 쟤가 추위를 잘 타.) └ 지역 : 전역(함평 신안 해남 진도 제외) |
|
추움 (명사) 추위. └ 지역 : 완도 |
|
추이 (명사) 추위. └ 지역 : 함평 해남 진도 담양 |
|
추자 (명사) 호두, 호도(胡桃) └ 지역 : 장성 담양 곡성 구례 화순 광양 |
|
추접기 (명사) 추(醜)저분한 분위기.
예) 아이고, 저 노인네도 추접기가 다 들었구만. (= 아이고, 저 노인네도 추저분하게 되었구먼.) └ 지역 : 담양 진도 |
|
추접시롭다 (형용사) 추(醜)접스럽다. └ 지역 : 전역 |
|